| [단행본 List] |
| 1. 신약개발 회사 내부 QA 운영 방법 |
| 2. 비임상 독성시험의 최대무독성량(NOAEL) 판단 |
| 3. 유전독성 평가의 일반적 방법론 |
| 4. 비임상 독성시험 CRO 선정 가이드 |
| 5. 간트 차트(Gantt chart)를 이용한 독성시험 일정 관리 |
| 6. In-House Non-GLP 독성시험 보고서 작성법 |
| 7. 일반독성시험의 생식기계 변화 평가 방법 |
| 8. 간의 비대(Liver enlargement) |
| 9. 발암성 평가 방법 |
| 10. 독성시험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와 음성 에너지 균형(Negative Energy Balance)의 영향 |
| 11. 데이터 마이닝(Data mining) |
| 12. 퍼옥시좀(Peroxisome) 분석을 통한 간 독성 평가 |
| 13. Langendorff법을 이용한 ex vivo 심장독성 평가 |
| 14. 활동전위 및 이온채널 기반 in vitro 심장독성 평가 |
| 15. 약물에 의한 간세포 비대(hepatocyte hypertorphy) 및 괴사(hepatocellular necrosis)의 진단 |
| 16. miRNA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간 독성 평가 |
| 17. PWG (Pathology Working Group) 운영 방법 |
| 18. 담즙산(Bile acid) 분석을 통한 간 독성 평가 |
| 19. Comet assay 유전독성 평가를 결합한 탐색적 독성시험 |
| 20. 생체 내 원격측정(Telemetry) 심장순환기계 독성평가를 결합한 탐색적 독성시험 |
| 21. 근전도 검사를 이용한 독성 평가 |
| 22. ASO (Antisense oligonucleotide)의 lead optimisation 단계 독성 평가 방법 |
| 23. RhE (Reconstituted human epidermis) 모델을 이용한 다양한 피부독성 평가 |
| 24. 간 3D organoid 모델 개발 |
| 25. 폐 마이크로솜 분석을 이용한 마우스 발암성 기전 확인 시험 |
| 26. 유전독성의 MoA 추정을 위한 FISH의 이용 |
| 27. 관상동맥의 Permanent occlusion을 이용한 심근경색모델에서의 약물의 효능평가법 |
| 28. 관상동맥의 Ischemia/reperfusion을 이용한 심근경색모델에서의 약물의 효능평가법 |
| 29. 고혈압 동물모델에서의 약물의 효능평가법 |
| 30. Langendorff장치에서 Monophasic action potential(MAP)을 이용한 약물의 심장독성평가법 |
| 31. QSAR 기반 간독성 예측 평가 |
| 32. 재현 가능 연구를 위한 LaTeX 적용 방법 |
| 33. 복합제 비임상 독성 평가 |
| 34. 단일클론항체 치료제 비임상 독성 평가 |
| 35. 조직교차반응성(TCR) 시험 결과 평가 |
| 36. 일반독성시험에서의 조혈기계 변화 평가 |
| 37. 일반독성시험에서의 내분비계 변화 평가 |
| 38. 비임상 신약개발 단계에서의 뼈 독성 평가 |
| 39. 전임상 신약개발 단계에서의 HCS 활용 |
| 40. 독성시험에서의 배경대조군자료(Historical control data) 활용 |
| 41. 비임상 신약개발 단계에서 인지질증의 평가 |
| 42. 독성시험에서의 신경계 독성 평가 |
| 43. 약물에 기인한 간 손상(Drug-induced Liver Injury) |
| 44. 독성시험의 혈액학적 검사 결과 평가 |
| 45. 독성시험의 혈청 생화학적 검사 결과 평가 |
| 46. 줄기세포 유래 심장세포를 이용한 심장독성평가 알고리즘 |
| 47. 화합물의 구조 기반 간독성 예측 모델 |
| 48. miRNA를 활용한 췌장독성평가 시험법 |
| 49. 신경독성을 확인하기 위한 행동분석 시험법 |
| 50. MSI(Mass Spectrometry Imaging) 분석을 이용한 약물의 조직 분포 평가 |
| 51. 생물학적 제제 개발을 위한 사이토카인 방출 분석법(Cytokine Release Assay) |
| 52. 이중면역형광염색(Double immunofluorescence)을 이용한 조직평가법 |
| 53. Pica(이식증) |
| 54. 약물에 의해 유도된 인지질증의 확인 방법 |
| 55. 간 3D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인지질증 평가 |
| 56. 비임상개발 중 적용할 수 있는 in vivo 안과검사 |
| 57. 면역조직화학기법을 이용한 조직교차반응성 시험법 |
| 58. 줄기세포 유래 심장세포를 이용한 스페로이드 제작 및 투명화 |
| 59. 투명화를 통한 스페로이드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약물의 영향평가법 |
| 60. 약물에 의한 스페로이드 수축력 및 박동의 영향평가법 |
| 61. 비임상 신약개발 단계 신장독성 평가 |
| 62. 면역 독성 평가 |
| 63. 약물 오남용 잠재성(Drug abuse potential) 평가 |
| 64. 고환독성 약물의 신약개발 전략 |
| 65. 소아용 의약품 개발 시 미성숙 동물 독성 평가(Juvenile animal study) |
| 66. 면역치료제(Immunotherapy)의 이해 |
| 67. 면역치료제(Immunotherapy)의 전임상 모델 |
| 68. 조직병리 피어리뷰(Pathology peer review) |
| 69. 전구약물(Pro-drug)의 비임상 개발 |
| 70. 줄기세포 유래 심장 3D 구조체 기반 심장독성평가 |
| 71. 비알코올성 지방간염(NASH) 치료제 전임상 평가 |
| 72. 면역항암제로서 항암 바이러스(Oncolytic virus)의 전임상 개발 전략 |
| 73. 천연물 의약품의 비임상 개발 |
| 74. 비임상 독성 평가 시 고려할 사람과 설치류 간의 해부조직학적 특성 차이 |
| 75. 유전자 조작 마우스를 이용한 암 연구 |
| 76. 미세컴퓨터단층촬영(Micro-CT) 분석을 통한 소주뼈(Trabecular bone)의 정량적 독성 평가 |
| 77. 비알코올성 지방간염(NASH) 치료제의 전임상 효력 평가 |
| 78. 작은 간섭 리보핵산(Small interfering RNA) 치료제의 전임상 독성 평가 |
| 79. 하이컨텐츠 스크리닝(HCS)의 신약개발 단계 적용 |
| 80. 시험관 내(In vitro) 세포독성 평가 |
| 81. 3차원 오가노이드(Three-dimensional organoid)를 이용한 간 독성 평가 |
| 82. 효소 결합 면역 스팟 분석법(ELISpot) |
| 83. 암 환견의 적응 T 세포 치료(Adoptive T cell therapy) 전후 유세포분석(Flow cytometry)을 이용한 면역세포 표현형 분석법 |
| 84. 유세포분석(Flow cytometry)을 이용한 세포사멸 분석 |
| 85. 공초점 현미경(Confocal microscopy)을 이용한 세포사멸 예측 |
| 86. 전임상 개발 약물의 사립체 근병증(Mitochondrial myopathy) 평가 |
| 87. 심장 스페로이드(Cardiac Spheroid)를 활용한 다중전극판(MEA) 분석법 |
| 88. 신경계 평가를 위한 특수 염색법 |
| 89. 면역항암제의 조합과 응용 |
| 90. 면역항암제의 First-In-Human (FIH) 도출 방법 |
| 91. 백신 기반 면역치료법 |
| 92. 인간화 마우스(Humanized mouse) |
| 93. Preformulation |
| 94. 약물의 심장이온채널평가를 통한 in silico 심장모델을 활용한 심장독성 평가법 |
| 95. 항암 바이러스로서 백시니아 바이러스 제작 및 시험관 내(in vitro) 시험법 |
| 96. 전임상 연구에서 항암바이러스의 효능평가 시험법 |
| 97. 종양 미세환경 마커의 측정 |
| 98. CHO-hERG Channel을 이용한 CiPA 기반 Patch clamp 시험법 |
| 99. CHO-Cav1.2 Channel을 이용한 CiPA 기반 Patch clamp 시험법 |
| 100. CHO-Nav1.5 Channel을 이용한 CiPA 기반 Patch clamp 시험법 |
| 101. ADC (Antibody drug conjugate) 약물의 독성 평가 |
| 102. 유전차치료제 개발에서의 비임상 생체 내 분포 및 독성 평가 |
| 103. 유전자치료제 및 치료용 바이러스의 배출시험 |
| 104. 의약품 내 DNA반응성(돌연변이원성) 불순물의 평가와 관리 |
| 105. 약물 상호반응성 시험 |
| 106. 약물 대사체의 안전성 평가 |
| 107. 항바이러스 제제의 개발 |
| 108. 독성시험의 투여 용량 선정 |
| 109. 약동-약력학 모델링을 활용한 생물의약품의 First-in-Human 임상시험에서의 투여 용량 선정 |
| 110. In silico 3D 심장모델을 활용한 심장독성평가법 |
| 111. 생물학적 제제의 수용체 점유율 검사 |
| 112. 신약개발 과정에서의 혈액응고 검사 |
| 113. 신약개발 과정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의 활용 |
| 114. 신약개발 과정에서 비임상 이미징 장비의 활용 |
| 115. 신약개발 과정에서의 광독성 평가 |
| 116. 신약개발 과정에서의 의약품 국제공통기술문서(CTD) 작성 |
| 117. CiPA (Comprehensive in vitro Proarrhythmia)를 위한 CHO-Cell Line (Nav1.5 & Cav1.2 & hERG) 배양 및 유지방법 |
| 118. CiPA (Comprehensive in vitro Proarrhythmia) 기반 CHO-hERG 약물 영향 평가법 |
| 119. CiPA (Comprehensive in vitro Proarrhythmia) 기반 CHO-Nav1.5 약물 영향 평가법 |
| 120. CiPA (Comprehensive in vitro Proarrhythmia) 기반 CHO-Late Nav1.5 약물 영향 평가법 |
| 121. CiPA (Comprehensive in vitro Proarrhythmia) 기반 CHO-Cav1.2 약물 영향 평가법 |
| 122. 약물의 이온 채널 평가결과를 이용한 in silico 심근세포모델 활용 심장 독성 평가법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