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단행본 List] |
1. 신약개발 회사 내부 QA 운영 방법 |
2. 비임상 독성시험의 최대무독성량(NOAEL) 판단 |
3. 유전독성 평가의 일반적 방법론 |
4. 비임상 독성시험 CRO 선정 가이드 |
5. 간트 차트(Gantt chart)를 이용한 독성시험 일정 관리 |
6. In-House Non-GLP 독성시험 보고서 작성법 |
7. 일반독성시험의 생식기계 변화 평가 방법 |
8. 간의 비대(Liver enlargement) |
9. 발암성 평가 방법 |
10. 독성시험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와 음성 에너지 균형(Negative Energy Balance)의 영향 |
11. 데이터 마이닝(Data mining) |
12. 퍼옥시좀(Peroxisome) 분석을 통한 간 독성 평가 |
13. Langendorff법을 이용한 ex vivo 심장독성 평가 |
14. 활동전위 및 이온채널 기반 in vitro 심장독성 평가 |
15. 약물에 의한 간세포 비대(hepatocyte hypertorphy) 및 괴사(hepatocellular necrosis)의 진단 |
16. miRNA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간 독성 평가 |
17. PWG (Pathology Working Group) 운영 방법 |
18. 담즙산(Bile acid) 분석을 통한 간 독성 평가 |
19. Comet assay 유전독성 평가를 결합한 탐색적 독성시험 |
20. 생체 내 원격측정(Telemetry) 심장순환기계 독성평가를 결합한 탐색적 독성시험 |
21. 근전도 검사를 이용한 독성 평가 |
22. ASO (Antisense oligonucleotide)의 lead optimisation 단계 독성 평가 방법 |
23. RhE (Reconstituted human epidermis) 모델을 이용한 다양한 피부독성 평가 |
24. 간 3D organoid 모델 개발 |
25. 폐 마이크로솜 분석을 이용한 마우스 발암성 기전 확인 시험 |
26. 유전독성의 MoA 추정을 위한 FISH의 이용 |
27. 관상동맥의 Permanent occlusion을 이용한 심근경색모델에서의 약물의 효능평가법 |
28. 관상동맥의 Ischemia/reperfusion을 이용한 심근경색모델에서의 약물의 효능평가법 |
29. 고혈압 동물모델에서의 약물의 효능평가법 |
30. Langendorff장치에서 Monophasic action potential(MAP)을 이용한 약물의 심장독성평가법 |
31. QSAR 기반 간독성 예측 평가 |
32. 재현 가능 연구를 위한 LaTeX 적용 방법 |
33. 복합제 비임상 독성 평가 |
34. 단일클론항체 치료제 비임상 독성 평가 |
35. 조직교차반응성(TCR) 시험 결과 평가 |
36. 일반독성시험에서의 조혈기계 변화 평가 |
37. 일반독성시험에서의 내분비계 변화 평가 |
38. 비임상 신약개발 단계에서의 뼈 독성 평가 |
39. 전임상 신약개발 단계에서의 HCS 활용 |
40. 독성시험에서의 배경대조군자료(Historical control data) 활용 |
41. 비임상 신약개발 단계에서 인지질증의 평가 |
42. 독성시험에서의 신경계 독성 평가 |
43. 약물에 기인한 간 손상(Drug-induced Liver Injury) |
44. 독성시험의 혈액학적 검사 결과 평가 |
45. 독성시험의 혈청 생화학적 검사 결과 평가 |
46. 줄기세포 유래 심장세포를 이용한 심장독성평가 알고리즘 |
47. 화합물의 구조 기반 간독성 예측 모델 |
48. miRNA를 활용한 췌장독성평가 시험법 |
49. 신경독성을 확인하기 위한 행동분석 시험법 |
50. MSI(Mass Spectrometry Imaging) 분석을 이용한 약물의 조직 분포 평가 |
51. 생물학적 제제 개발을 위한 사이토카인 방출 분석법(Cytokine Release Assay) |
52. 이중면역형광염색(Double immunofluorescence)을 이용한 조직평가법 |
53. Pica(이식증) |
54. 약물에 의해 유도된 인지질증의 확인 방법 |
55. 간 3D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인지질증 평가 |
56. 비임상개발 중 적용할 수 있는 in vivo 안과검사 |
57. 면역조직화학기법을 이용한 조직교차반응성 시험법 |
58. 줄기세포 유래 심장세포를 이용한 스페로이드 제작 및 투명화 |
59. 투명화를 통한 스페로이드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약물의 영향평가법 |
60. 약물에 의한 스페로이드 수축력 및 박동의 영향평가법 |
61. 비임상 신약개발 단계 신장독성 평가 |
62. 면역 독성 평가 |
63. 약물 오남용 잠재성(Drug abuse potential) 평가 |
64. 고환독성 약물의 신약개발 전략 |
65. 소아용 의약품 개발 시 미성숙 동물 독성 평가(Juvenile animal study) |
66. 면역치료제(Immunotherapy)의 이해 |
67. 면역치료제(Immunotherapy)의 전임상 모델 |
68. 조직병리 피어리뷰(Pathology peer review) |
69. 전구약물(Pro-drug)의 비임상 개발 |
70. 줄기세포 유래 심장 3D 구조체 기반 심장독성평가 |
71. 비알코올성 지방간염(NASH) 치료제 전임상 평가 |
72. 면역항암제로서 항암 바이러스(Oncolytic virus)의 전임상 개발 전략 |
73. 천연물 의약품의 비임상 개발 |
74. 비임상 독성 평가 시 고려할 사람과 설치류 간의 해부조직학적 특성 차이 |
75. 유전자 조작 마우스를 이용한 암 연구 |
76. 미세컴퓨터단층촬영(Micro-CT) 분석을 통한 소주뼈(Trabecular bone)의 정량적 독성 평가 |
77. 비알코올성 지방간염(NASH) 치료제의 전임상 효력 평가 |
78. 작은 간섭 리보핵산(Small interfering RNA) 치료제의 전임상 독성 평가 |
79. 하이컨텐츠 스크리닝(HCS)의 신약개발 단계 적용 |
80. 시험관 내(In vitro) 세포독성 평가 |
81. 3차원 오가노이드(Three-dimensional organoid)를 이용한 간 독성 평가 |
82. 효소 결합 면역 스팟 분석법(ELISpot) |
83. 암 환견의 적응 T 세포 치료(Adoptive T cell therapy) 전후 유세포분석(Flow cytometry)을 이용한 면역세포 표현형 분석법 |
84. 유세포분석(Flow cytometry)을 이용한 세포사멸 분석 |
85. 공초점 현미경(Confocal microscopy)을 이용한 세포사멸 예측 |
86. 전임상 개발 약물의 사립체 근병증(Mitochondrial myopathy) 평가 |
87. 심장 스페로이드(Cardiac Spheroid)를 활용한 다중전극판(MEA) 분석법 |
88. 신경계 평가를 위한 특수 염색법 |
89. 면역항암제의 조합과 응용 |
90. 면역항암제의 First-In-Human (FIH) 도출 방법 |
91. 백신 기반 면역치료법 |
92. 인간화 마우스(Humanized mouse) |
93. Preformulation |
94. 약물의 심장이온채널평가를 통한 in silico 심장모델을 활용한 심장독성 평가법 |
95. 항암 바이러스로서 백시니아 바이러스 제작 및 시험관 내(in vitro) 시험법 |
96. 전임상 연구에서 항암바이러스의 효능평가 시험법 |
97. 종양 미세환경 마커의 측정 |
98. CHO-hERG Channel을 이용한 CiPA 기반 Patch clamp 시험법 |
99. CHO-Cav1.2 Channel을 이용한 CiPA 기반 Patch clamp 시험법 |
100. CHO-Nav1.5 Channel을 이용한 CiPA 기반 Patch clamp 시험법 |
101. ADC (Antibody drug conjugate) 약물의 독성 평가 |
102. 유전차치료제 개발에서의 비임상 생체 내 분포 및 독성 평가 |
103. 유전자치료제 및 치료용 바이러스의 배출시험 |
104. 의약품 내 DNA반응성(돌연변이원성) 불순물의 평가와 관리 |
105. 약물 상호반응성 시험 |
106. 약물 대사체의 안전성 평가 |
107. 항바이러스 제제의 개발 |
108. 독성시험의 투여 용량 선정 |
109. 약동-약력학 모델링을 활용한 생물의약품의 First-in-Human 임상시험에서의 투여 용량 선정 |
110. In silico 3D 심장모델을 활용한 심장독성평가법 |
111. 생물학적 제제의 수용체 점유율 검사 |
112. 신약개발 과정에서의 혈액응고 검사 |
113. 신약개발 과정에서 면역조직화학염색의 활용 |
114. 신약개발 과정에서 비임상 이미징 장비의 활용 |
115. 신약개발 과정에서의 광독성 평가 |
116. 신약개발 과정에서의 의약품 국제공통기술문서(CTD) 작성 |
117. CiPA (Comprehensive in vitro Proarrhythmia)를 위한 CHO-Cell Line (Nav1.5 & Cav1.2 & hERG) 배양 및 유지방법 |
118. CiPA (Comprehensive in vitro Proarrhythmia) 기반 CHO-hERG 약물 영향 평가법 |
119. CiPA (Comprehensive in vitro Proarrhythmia) 기반 CHO-Nav1.5 약물 영향 평가법 |
120. CiPA (Comprehensive in vitro Proarrhythmia) 기반 CHO-Late Nav1.5 약물 영향 평가법 |
121. CiPA (Comprehensive in vitro Proarrhythmia) 기반 CHO-Cav1.2 약물 영향 평가법 |
122. 약물의 이온 채널 평가결과를 이용한 in silico 심근세포모델 활용 심장 독성 평가법 |